1. HTTPS?
- 맞다. 우리가 주소창에 칠 때 맨 앞에 따라오는 놈이다.
-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'Secure' Socket layer의 줄임말이다.
- HTTP에 secure이 붙어서 더 안전한 녀석이다.
2. 작동방식으로 보는 HTTP vs HTTPS
- HTTP는 문자 형식 그대로 정보를 보낸다. 그것이 비밀번호 같은 민감한 정보가 있다고 해도 그대로 보낸다.
- 중간에 그것을 가로채면 그것을 바로 뺏겨버린다.
- HTTPS는 그것을 '해싱' 하여 알 수 없는 텍스트로 바꿔서 정보를 보낸다.
- 그것을 서버에서 해석해서 알아듣는다. 중간에 정보를 뺏겨도 해석할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상관없다.
- 그리고 특별한 기관에서 '인증서'를 받은 곳에서만 이 HTTPS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슷하게 만들어놓은 피싱 사이트인지를 확실히 알 수 있어서 신뢰하지 않는 사이트에서는 개인정보와 관련된 것들을 사용하지 않고 해킹을 막을 수 있다.
- 그리고 확실하게 프로토콜 부분에 HTTP 형식인지, HTTPS 형식인지를 명시해 줘야 한다. 아니면 올바르지 않은 형식으로 정보를 읽어 오게 되므로 안된다.
- 기밀성(privacy) : 제삼자가 중간에서 정보를 가로챌 수 없게 암호화함
- 무결성(integrity) : 정보가 중간에 조작되지 않는다.
- 이 둘을 잘 지키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HTTPS가 더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다.
3. 인증서
- 앞서 말했듯이, 브라우저가 접속한 서버가 정상적인 우리가 의도했던 서버라는 것을 보장하는 인증이다.
- 인증된 기관(CA, Certificate Authority)에서 인증서를 발급하고, 그 인증기관들은 많지 않다. 그래서 받은 인증서를 인증기관들에게 확인하여 확실한 사이트 임을 보증하게 되는 것이다.
- 주소창 위에 '자물쇠' 마크를 눌러보면 인증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 티스토리 같은 경우 SSL Server Certificate라고 되어있다.
4. 어떻게 암호화를 할까?
- 이들은 서로 각각의 '키'를 가지고 있다.
- 이 키를 이용해 암호화를 하게 되고 키의 종류에 따라 해석하는 방식이 달라진다.
- 대칭키
- 메시지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, 둘 다 똑같은 키를 가지고 있어서 해석하는 방식을 공유하여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석해서 사용한다.
- 이때, 키만 노출되지 않는다면 중간에 메시지를 가로채더라도 해석할 수 없다.
- 하지만 결국, 한 번은 키를 보내는 쪽에 줘야 하기 때문에 이때 가로채면 막을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.
- 비대칭키
- 두 개의 키를 가지고 해석을 하게 된다. 하나는 '공개키'로 이것은 누구나 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. 이는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이 키 하나만 가지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.
- 하나는 '개인키'로, 서버에서 가지고 있다. 공개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는 서버에서 개인키를 이용해야만 다시 복호화할 수 있다.
- 인증서와 같은 정보들은 서버에서 개인키로 암호화되어 사용자에게 보내지고, 이도 마찬가지로 개인키로 암호화된 내용은 사용자의 공개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. 그래서 인증서가 올바르지 않은 사이트에서의 정보를 해석하려고 하면 안 될 테니까, 우리는 안전한 사이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.
4. Hashing
-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이다. 항상 고정길이를 리턴하고, 항상 input과 output이 일정하다. 즉, 순수 함수이다.
- 그리고 해싱된 메시지는 복호화가 키를 모르고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.
- 물론 너무 간단하고 쉬운 경우는 이미 해싱된 결과들이 저장되어 해석할 수 도 있다. 이것을 레인보우 테이블이라고 한다.
- 예를 들어, 1234, password 같은 걸로 비밀번호를 정해놓으면 아무리 암호화 해 놔도 다 뚫린다는 것이다.
- 하지만 이는, 'Salt'를 이용하게 되면 더욱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.
- 원래 있던 패스워드에서 자신만이 아는 문자를 추가해서 더 욱 복잡한 해쉬를 만들어서 서버는 솔트 값을 알고 그것까지 포함해서 해석하게 된다.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솔트 값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좋다.
5. 결국, 어떻게 메시지를 주고받나요?
- handshake
- 가장 먼저, 서버를 클라이언트가 신뢰하지 못하는 단계에서 클라이언트가 무작위의 데이터를 보낸다.
- 그것의 응답으로 서버에서 생성된 무작위 데이터와 인증서를 보낸다.
- 클라이언트는 받은 인증서를 브라우저에 내장된 CA들의 정보와 대조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서버인지를 확인한다.
- 브라우저의 인증서 확인
- 인증서에 있는 공개키를 알맞은 CA의 개인키로 복호화한다.
- 이때 정상적인 서버에서 받은 인증서라면, 복호화가 올바르게 된다.
- 하지만 아니라면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가 되는 것이다.
- 다시 서버로
- 이제 비대칭키와 대칭키를 같이 사용한다.
- 대칭키를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공유하게 된다. 이때, 이 대칭키를 공유하는 방식이 비대칭키를 이용한 방식이다.
- 만약, 계속 비대칭키 방식만 사용한다면 사이트를 이용할 때 주고받는 수많은 데이터들을 모두 비대칭 방식으로 만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.
- 아까. handshake 단계에서 만든 무작위 데이터, 받은 거, 자기가 만든 것 둘을 합쳐서 임시로 키를 만든다.
- 이 임시키를 서버로 공개키로 보내진다. 이렇게 하면 양쪽에 동일한 대칭키를 만들게 된다.
6. 쿠키
- 사이트를 방문할 때, 내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텍스트 정보들이다.
- 물론 나한테 저장된 정보기 때문에 정보를 수정하거나, 누군가에게 탈취당할 위험도 있다. 그래서 민감한 정보는 넣지 않는다.
- 정말 중요한 정보들은 서버 측의 '세션'에서 관리하게 된다.
- 이때, 사용자마다 작은 임시키를 쿠키에 넣어서 준다.
- 이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사이트의 페이지들을 탐색할 때, 서버가 그 키를 보고 그 유저가 누구인지 알 수 있다.
- 그래서 로그인이 안된 상태로 장바구니에 많은 아이템들을 담아 놓고 로그인을 하면 그대로 아이템들이 남아 있는 것이다!
- 아이디 저장, 자동 로그인 같은 기능도 똑같다!
- 그래서 쿠키를 지우면 자동 로그인이 풀리는 것이다.
- 이때, '캐시'를 이용하면,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시에 담아, 가져오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정보를 사용자의 컴퓨터나 서버에 저장하여 그 비용을 줄일 수 있다.
'Coding > Today I Learn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.09.10(Fri.) <취미로라도 알아두면 좋은 컴퓨터 하드웨어> (0) | 2021.09.10 |
---|---|
2021.09.09(Thu.) <취미로라도 알아두면 좋은 컴퓨터의 기초 이론> (0) | 2021.09.09 |
2021.09.03(Fri.) <SQL vs NoSQL와 MongoDB의 간단한 공략> (0) | 2021.09.03 |
2021.09.01(Wen.) <MVC Design> (0) | 2021.09.01 |
2021.08.31(Tue.) <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과 팁> (0) | 2021.09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