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문제 설명
코딩테스트 연습 - [1차] 비밀지도
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.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. 다
programmers.co.kr
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.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.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.
-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, 각 칸은 "공백"(" ") 또는 "벽"("#")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.
-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. 각각 "지도 1"과 "지도 2"라고 하자.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.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.
- "지도 1"과 "지도 2"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.
-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,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.
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,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.
2. 입력 형식
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, arr2가 들어온다.
- 1 ≦ n ≦ 16
- arr1,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.
-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. 즉, 0 ≦ x ≦ 2n - 1을 만족한다.
3. 입출력 예제
- 1번
n | 5 |
arr1 | [9, 20, 28, 18, 11] |
arr2 | [30, 1, 21, 17, 28] |
출력 | ["#####","# # #", "### #", "# ##", "#####"] |
- 2번
n | 6 |
arr1 | [46, 33, 33 ,22, 31, 50] |
arr2 | [27 ,56, 19, 14, 14, 10] |
출력 | ["######", "### #", "## ##", " #### ", " #####", "### # "] |
4. 나의 접근 방식
- 먼저 지도 두 개를 합쳐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다.
- 결국, 하나의 배열 안에 가장 상단의 줄부터 지도의 모양이 '#'으로 들어가니까 총결과물의 배열의 길이는 주어진 지도들의 길이와 같다고 생각했다.
- 그러므로, 개수와 같은 길이의 빈 문자열로 이루어진 배열을 만들어주고, 두 개의 지도를 합친 지도를 보고 해석하여, '#'을 넣어주면 된다고 생각하였다.
5. 결과
function solution(n, arr1, arr2) {
// 주어진 arr1, arr2는 10진법의 수이므로 2진법으로 바꿔준다.
let two1 = arr1.map(el => el.toString(2).padStart(n, '0'));
let two2 = arr2.map(el => el.toString(2).padStart(n, '0'))
// 주어진 배열의 길이인 n과 같은 길이의 빈 배열을 만들어 주고,
let arr = Array(n).fill('')
// arr들을 완전 탐색한다.
for(let i = 0; i < n; i++) {
for(let j = 0; j < n; j++) {
// 만약 arr1과 arr2의 index의 수가 같다면
if(two1[i][j] === two2[i][j]) {
// 더한 값을 arr를 알맞은 index에 넣는다.
arr[i] = arr[i] + two1[i][j]
} else {
// 아니라면, 문자열 1을 더해준다. 그럼 바로 뒤로 붙는다.
arr[i] = arr[i] + '1'
}
}
}
// 다시 n길이의 배열을 만들어주고,
let result = Array(n).fill('')
// 또 완전 탐색한다.
for(let i = 0; i < n; i++) {
for(let j = 0; j < n; j++) {
// 이번에는 합쳐진 지도인 arr를 탐색하며 만약, 요소가 "1"이라면,
if(arr[i][j] === "1") {
// #을 더해 똑같은 index에 넣어주고
result[i] = result[i] + "#"
} else {
// 아니라면 " "을 넣어주어 0을 처리한다.
result[i] = result[i] + " "
}
}
}
return result;
}
6. 개선점이 있다면?
- 이중 반복문의 잦은 사용은 시간 복잡도에서 불리하다. 줄일 수 있다면 줄이는 것이 옳다.
- 만약, 정규표현식을 어떻게 잘 섞어 써도 풀 수 있지 않을까?? 하는 생각이 든다.
'Coding > Today I Learn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.02.02(Wed.) <프로그래머스 신규 아이디 추천 문제 풀이> (0) | 2022.02.02 |
---|---|
2022.02.01(Tue.) <프로그래머스 체육복 문제 풀이> (0) | 2022.02.01 |
2022.01.30(Sun.) <React에서 SASS/SCSS 사용하기> (0) | 2022.01.30 |
2022.01.29(Sat.) <CSS position으로 요소들 배치하기> (0) | 2022.01.29 |
2022.01.28(Fri.) <React 스크롤에 따른 이벤트 만들기> (0) | 2022.01.28 |